2023-07-13
신약 개발사 뭉쳤다…국내 첫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나올까
|마이크로바이옴 협의체 출범…초대 회장에 천종식 CJ바사 대표 선임
|CJ바사·지놈앤컴퍼니·고바이오랩 등 국내 기업들 항암제 임상 '박차'
“27개 기업이 다 같이 합심해서 반드시 새로운 모달리티(치료기술)의 마이크로바이옴 신약을 꼭 개발해내겠습니다.”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개발을 위해 국내 신약 개발사들이 힘을 합친다. CJ바이오사이언스를 비롯해 27개 기업이 협의체를 구성하고, 신약개발을 위한 논의를 이어가기로 했다.
마이크로바이옴은 미생물(microbe)과 생태계(biome)의 합성어다. 말 그대로 사람 몸 안의 미생물 생태계를 의미한다.
그동안 마이크로바이옴의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보고 많은 기업들이 뛰어들었지만 번번이 치료제 개발에 실패했다. 하지만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은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치료제가 나오면서 신약 개발에 대한 기대감이 다시 커지는 상황이다.
이번에 협의체가 구성되고, 국내 기업들이 활발한 임상을 펼치고 있는 만큼 국내에서도 첫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가 개발될지 이목이 쏠린다.
◇신약개발사 27곳 맞손…마이크로바이옴 협의체 출범
1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개최된 ‘바이오플러스-인터펙스 코리아’(BIX 2023)에서는 '마이크로바이옴 신약기업협의회(이하 협의회)' 발족식이 열렸다.
마이크로바이옴 신약기업협의회는 마이크로바이옴을 이용한 신약 개발 활성화를 중점 추진하고자 한국바이오협회 산하로 발족했다.
창립 회원사는 총 27개사다. CJ바이오사이언스를 회장사로, △고바이오랩 △국민바이오 △노드큐어 △디엑스앤브이엑스 △리비옴 △리스큐어바이오사이언시스 △바이오미 △비엘 △비피도 △쎌바이오텍 △쓰리빅스 △알리코제약 △에이치이엠파마 △에이피테크놀로지 △엔비피헬스케어 △엠디헬스케어 △우정바이오 △이뮤노바이옴 △일동제약 △제노포커스 △제이앤파머 △종근당바이오 △지놈앤컴퍼니 △지아이바이옴 △케이바이오랩 △헬스바이오 등이 협의회에 참여한다.
초대 회장은 천종식 CJ바이오사이언스 대표가 맡았다.
천 대표는 이날 인사말에서 “바이오산업에 대한 우려의 시각 속에서도 마이크로바이옴 신약 개발 분야는 선진국과의 기술 격차가 가장 적은 분야로 관심을 받으며 바이오 산업을 선도할 수 있는 미래 먹거리로 주목받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27개 기업이 다 같이 합심해서 반드시 새로운 모달리티(치료기술)의 마이크로바이옴 신약을 꼭 개발해내겠다”고 강조했다.
이승규 바이오협회 부회장은 “기업들의 수요와 애로사항을 취합해 긴밀한 협업과 역량의 결집을 통해 민-관 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한 산업계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정부도 마이크로바이옴 신약이 개발될 수 있도록 지원을 이어가기로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한국연구재단의 오민규 차세대바이오단장은 “2021년 1조2000억원 규모로 동식물 전체를 놓고 추진했던 마이크로바이옴 지원 방안을 지난해 재정비를 했고, 4000억~5000억원 규모의 인체 마이크로바이옴 예타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내 개발 마이크로바이옴 신약 나올까…임상 ‘박차’
전세계적으로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분야은 선두가 없는 만큼, 국내에서 획기적인 치료제 개발 시 선점효과를 누릴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은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치료제는 2개 뿐이다.
첫 FDA 승인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는 미국 리바이오틱스와 스위스 페링 바이오파마슈티컬스(페링)가 공동개발한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 감염증(CDI) 치료제 ‘리바이오타’다. 지난해 11월 FDA로부터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 감염의 재발 방지를 위한 약물로 승인을 받았다.
지난 4월에는 미국 세레스테라퓨틱스가 개발한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클로스트리디움이 디피실 감염증 치료제 'SER-109'가 FDA 허가를 받았다. 이 약물은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중 첫 경구용(먹는 알약)이다.
두 약물 다 재발 예방을 위한 치료제로 승인됐고, 모두 장 내 질환을 적응증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추후 치료제 개발 시 경쟁력이 충분한 것으로 관측된다.
실제로 국내 기업들은 항암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임상을 진행 중에 있다.
CJ바이오사이언스는 마이크로바이옴 면역항암 치료제를 개발중이다. 올해 1월 미국 FDA로부터 마이크로바이옴 면역항암 치료제 ‘CJRB-101’ 임상 1·2상 승인을 받았다.
지난달에는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임상 1·2상 승인을 받았다. 미국 MSD의 면역항암제 ‘펨브롤리주맙’과의 병용 투여 가능성을 확인한다.
고바이오랩은 마이크로바이옴 건선치료제 ‘KBL 697’ 개발을 진행중이다. 현재 FDA 임상 2상을 승인 받고 투약을 실시중이다. KBL 697은 염증성 장질환 치료제로도 개발되고 있다. 마찬기지로 현재 2상 단계로, 환자 모집 진행에 있다.
고바이오랩은 지난해 3월 셀트리온과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과민성대장증후군, 아토피피부염 치료제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개발 계약을 맺기도 했다.
지놈앤컴퍼니는 마이크로바이옴 면역항암 치료제 ‘GEN-001’가 임상 2상 단계에 진입했다. 담도암과 위암을 적응증으로 현재 개발중이다. MSD의 키트루다(성분명 펨브롤리주맙)와 병용투여 방식으로 임상이 진행되고 있다.
한편, 한국바이오협회에 따르면 글로벌 마이크로바이옴 시장 규모는 약 130조원에 이르며 2027년까지 연평균 약 55%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출처 : 데일리한국
URL : https://daily.hankooki.com/news/articleView.html?idxno=978209
|CJ바사·지놈앤컴퍼니·고바이오랩 등 국내 기업들 항암제 임상 '박차'
“27개 기업이 다 같이 합심해서 반드시 새로운 모달리티(치료기술)의 마이크로바이옴 신약을 꼭 개발해내겠습니다.”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개발을 위해 국내 신약 개발사들이 힘을 합친다. CJ바이오사이언스를 비롯해 27개 기업이 협의체를 구성하고, 신약개발을 위한 논의를 이어가기로 했다.
마이크로바이옴은 미생물(microbe)과 생태계(biome)의 합성어다. 말 그대로 사람 몸 안의 미생물 생태계를 의미한다.
그동안 마이크로바이옴의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보고 많은 기업들이 뛰어들었지만 번번이 치료제 개발에 실패했다. 하지만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은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치료제가 나오면서 신약 개발에 대한 기대감이 다시 커지는 상황이다.
이번에 협의체가 구성되고, 국내 기업들이 활발한 임상을 펼치고 있는 만큼 국내에서도 첫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가 개발될지 이목이 쏠린다.
◇신약개발사 27곳 맞손…마이크로바이옴 협의체 출범
1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개최된 ‘바이오플러스-인터펙스 코리아’(BIX 2023)에서는 '마이크로바이옴 신약기업협의회(이하 협의회)' 발족식이 열렸다.
마이크로바이옴 신약기업협의회는 마이크로바이옴을 이용한 신약 개발 활성화를 중점 추진하고자 한국바이오협회 산하로 발족했다.
창립 회원사는 총 27개사다. CJ바이오사이언스를 회장사로, △고바이오랩 △국민바이오 △노드큐어 △디엑스앤브이엑스 △리비옴 △리스큐어바이오사이언시스 △바이오미 △비엘 △비피도 △쎌바이오텍 △쓰리빅스 △알리코제약 △에이치이엠파마 △에이피테크놀로지 △엔비피헬스케어 △엠디헬스케어 △우정바이오 △이뮤노바이옴 △일동제약 △제노포커스 △제이앤파머 △종근당바이오 △지놈앤컴퍼니 △지아이바이옴 △케이바이오랩 △헬스바이오 등이 협의회에 참여한다.
초대 회장은 천종식 CJ바이오사이언스 대표가 맡았다.
천 대표는 이날 인사말에서 “바이오산업에 대한 우려의 시각 속에서도 마이크로바이옴 신약 개발 분야는 선진국과의 기술 격차가 가장 적은 분야로 관심을 받으며 바이오 산업을 선도할 수 있는 미래 먹거리로 주목받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27개 기업이 다 같이 합심해서 반드시 새로운 모달리티(치료기술)의 마이크로바이옴 신약을 꼭 개발해내겠다”고 강조했다.
이승규 바이오협회 부회장은 “기업들의 수요와 애로사항을 취합해 긴밀한 협업과 역량의 결집을 통해 민-관 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한 산업계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정부도 마이크로바이옴 신약이 개발될 수 있도록 지원을 이어가기로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한국연구재단의 오민규 차세대바이오단장은 “2021년 1조2000억원 규모로 동식물 전체를 놓고 추진했던 마이크로바이옴 지원 방안을 지난해 재정비를 했고, 4000억~5000억원 규모의 인체 마이크로바이옴 예타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내 개발 마이크로바이옴 신약 나올까…임상 ‘박차’
전세계적으로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분야은 선두가 없는 만큼, 국내에서 획기적인 치료제 개발 시 선점효과를 누릴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은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치료제는 2개 뿐이다.
첫 FDA 승인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는 미국 리바이오틱스와 스위스 페링 바이오파마슈티컬스(페링)가 공동개발한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 감염증(CDI) 치료제 ‘리바이오타’다. 지난해 11월 FDA로부터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 감염의 재발 방지를 위한 약물로 승인을 받았다.
지난 4월에는 미국 세레스테라퓨틱스가 개발한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클로스트리디움이 디피실 감염증 치료제 'SER-109'가 FDA 허가를 받았다. 이 약물은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중 첫 경구용(먹는 알약)이다.
두 약물 다 재발 예방을 위한 치료제로 승인됐고, 모두 장 내 질환을 적응증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추후 치료제 개발 시 경쟁력이 충분한 것으로 관측된다.
실제로 국내 기업들은 항암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임상을 진행 중에 있다.
CJ바이오사이언스는 마이크로바이옴 면역항암 치료제를 개발중이다. 올해 1월 미국 FDA로부터 마이크로바이옴 면역항암 치료제 ‘CJRB-101’ 임상 1·2상 승인을 받았다.
지난달에는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임상 1·2상 승인을 받았다. 미국 MSD의 면역항암제 ‘펨브롤리주맙’과의 병용 투여 가능성을 확인한다.
고바이오랩은 마이크로바이옴 건선치료제 ‘KBL 697’ 개발을 진행중이다. 현재 FDA 임상 2상을 승인 받고 투약을 실시중이다. KBL 697은 염증성 장질환 치료제로도 개발되고 있다. 마찬기지로 현재 2상 단계로, 환자 모집 진행에 있다.
고바이오랩은 지난해 3월 셀트리온과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과민성대장증후군, 아토피피부염 치료제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개발 계약을 맺기도 했다.
지놈앤컴퍼니는 마이크로바이옴 면역항암 치료제 ‘GEN-001’가 임상 2상 단계에 진입했다. 담도암과 위암을 적응증으로 현재 개발중이다. MSD의 키트루다(성분명 펨브롤리주맙)와 병용투여 방식으로 임상이 진행되고 있다.
한편, 한국바이오협회에 따르면 글로벌 마이크로바이옴 시장 규모는 약 130조원에 이르며 2027년까지 연평균 약 55%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출처 : 데일리한국
URL : https://daily.hankooki.com/news/articleView.html?idxno=978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