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RNA
"역량 총동원"…政 '글로벌 백신 허브’ 천명
작년부터 이어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공급 논란은 일명, ‘백신 주권’의 필요성을 한층 더 부각시켰다.
이에 정부는 코로나19 백신을 필두로 백신 자체 개발 및 생산력을 확충하겠다며, 8월 ‘K-글로벌 백신허브화 비전 및 전략’을 발표하며, 백신주권 확보를 위한 행보를 본격화했다.
정부는 K-글로벌 백신허브화 목표 달성을 위해 ▲국산 코로나19 백신 신속개발 ▲글로벌 생산협력 확대 ▲글로벌 백신 허브 기반 신속 구축 등 3대 전략을 집중 추진해 국산 1호 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하고 2025년까지 백신 5대 강국으로 도약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범정부적인 역량을 총동원해 전임상부터 임상, 생산까지 전 단계에 걸쳐 국산 백신 조기 개발을 지원해 온 국산 백신 개발을 끝까지 지원할 방침이다.
지원 내용은 3상 진입 시 비용 지원, 선구매, 임상 승인기간 단축, 임상 참여자 모집 지원 등이다. 신속 개발이 가능한 국산 mRNA 백신 개발을 위해 특허 회피 전략, 연구 지원 등도 병행한다.
이와 함께 글로벌 백신 허브 기반 구축을 위해 생산역량 확충, 차세대 백신 신속 개발, 국산 백신 글로벌 진출, 백신산업 생태계 조성 등 4가지 중점과제에 범정부적 역량을 집중키로 했다. 생산기반 확충을 위해 기업들에 총 180억원을 지원하고, 백신 개발과 생산을 위한 핵심기술을 국가전략기술로 선정해 세제 혜택을 강화했다.
mRNA 등 차세대 백신 플랫폼 생산기반 구축 및 양산·품질관리 지원도 확대했다.
또 백신 원부자재의 신속한 통관·물류절차를 제공하고, 원부자재 등의 국내 보세공장 반입을 허용해 관련 기업의 물류비용 절감을 지원키로 했다. 백신·원부자재 투자 지역은 첨단투자지구로 우선 지정하고, 백신 분야 국가전략기술에 투자 시 자금 및 입지지원 등의 외인 투자 유인 확대도 추진한다.
반복되는 감염병 팬데믹 상황에서 향후 백신 개발 주도권을 확보하고 국민에게 국산 백신을 접종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전략 백신에 대한 지원도 강화했다.
이밖에 대규모 임상시험 등을 집중 투자할 수 있는 정책 펀드 조성, 임상시험 전 과정을 효율화하는 스마트 임상시험 시스템 구축, 허가전담심사팀 운영, 백신 수출 목적의 국내 생산설비투자에 금융지원 추진 등도 병행하며 백신 허브로 자리매김하게끔 전방위 지원 및 육성을 공언했다.
민간에서의 백신 허브화 움직임도 활발한 모습이다.
WHO(세계보건기구)의 아시아·태평양 mRNA 백신 허브 구축사업에 한미사이언스가 컨소시엄을 꾸려 참가한 것이 대표적인 예. 컨소시엄에는 명지의료재단, 진원생명과학, 이노바이오, GS네오텍 등이 이름을 올렸다.
WHO는 권역별로 허브를 꾸리고 이를 통해 백신 생산·공급 및 기술 이전을 실행할 계획인데,한미사이언스 컨소시엄이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백신 허브 역할을 맡겠다고 나선 것이다.
mRNA 백신 생산을 통해 코로나19 백신 부족 사태를 해결하는 것과 동시에 새로운 신약 개발 패러다임인 mRNA 기술의 대표주자로 자리매김하겠다는 게 해당 컨소시엄 측의 복안이다.
출처: 청년의사